얼마전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가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드라마는 초반부터 해녀들이 등장해서 시선을 끌었다. 제주 해녀다. 제주도의 삶을 이야기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해녀다. 이 드라마에는 해녀의 애환과 아픔이 담겨있다. 또한 최근에는 JTBC 특집 다큐멘터리 <딥 다이브 코리아: 송지효의 해녀 모험>이 방영됐다. JTBC와 BBC 스튜디오의 첫 번째 공동 제작 콘텐츠다. <딥 다이브 코리아>는 제주 해녀들이 가진 강인한 정신과 삶의 방식을 섬세하게 담아낸 작품으로 해녀 문화를 전하기 위해 기획됐다. 테왁 하나에 의지한 채 망망대해에서 삶을 일구어 낸 해녀들의 고단한 삶을 이해하는 배우 송지효의 모습은 시청자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해녀의 어원 해녀(海女)는 얕은 바다에서 잠수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자들을 뜻하는 말이다. 남해안에서는 ‘무레꾼’이라 하고, 제주도에서는 ‘잠녀·잠수(녀·수, 潛女·潛嫂)로 불리어 왔다 ‘해녀’라는 말은 일제강점기에 등장해 1980년대 이후 다수를 차지하게 됐지만 제주도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1960년대 부산 영도에서는 ‘통쟁이’라는 말로도 불리었다고 한다. 테왁 대신 나무통을 사용한데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이처럼 나무통을 사용하는 것은 일본의 아마[海女, 海士]에게서 볼 수 있는 있는 것으로 과거 일제 강점기에 영도에 있었던 일본 이주 어촌의 영향이다. 세계적으로 특별한 여성잠수업자 바다 속에 잠수해 해산물을 채취하는 행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볼 수 있는 일이지만, 생계를 위해 특별한 장비 없이 바다 속에 뛰어들어 물질을 하는 것은 우리나라와 일본 밖에 없다. 동남아시아, 러시아 등지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활동이 소소하게 남아 있다. 특히 제주도는 ‘여성 잠수업자’가 가장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녀는 한반도 각 해안과 여러 섬에 흩어져 있지만, 그 대부분이 제주도에 몰려 있다. 과거 제주 해녀들은 자기 고장에서만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지방이나 외국으로 나가 몇 개월씩 출가 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1876년 개항으로 일본 어민의 진출과 함께 제주어장이 황폐화되면서 해녀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게 되었다. 이에 그들은 경상북도와 강원도를 거쳐 청진에 이르기까지 점점 동해안 일대를 누비며 북상하였고, 남해안과 서해안, 울릉도와 흑산도에 이르기까지 본토의 각 해안뿐만 아니라, 일본 각지와 블라디보스토크, 요동반도의 다롄, 산둥성의 칭다오에까지 진출하였다. 이들은 봄에 나가서 가을이면 돌아왔다. 제주도 이외 다른 지역에서의 물질은 기본적으로 계절에 따른 이주 노동자가 행하는 것으로, 제주도 밖에서 물질을 했던 제주 해녀가 전수하여 준 것이다. 역사적 문헌에 나타난 ‘해녀’ 해녀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직업 중의 하나다. 해녀의 존재는 옛 문헌의 여러 기록에서 나타난다.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 해녀가 등장한다. 1105년 고려 숙종 때는 ‘해녀들의 나체 조업을 금’한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인조 때는 제주목사가 ‘남녀가 어울려 바다에서 조업하는 것을 금’했다고 한다. 그 시절에는 해녀뿐만 아니라 해남(海男)도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남은 포작인(鮑作人), 포작간(鮑作干) 등으로 불렸다. 제주도는 고려 때부터 전복과 미역을 왕실에 공물로 받쳤는데 미역은 주로 해녀들이 땄고 전복은 포작인들이 담당하였다. 공물로 바쳐야 하는 전복의 할당량이 늘어나자 뭍으로 도망가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 때문에 제주도 사람들이 뭍으로 도주하지 못하도록 「출륙금지령」을 내렸는데, 1629년부터 이후 200년간 계속되었다. 제주도 여성은 뭍으로 시집을 갈 수도 없었다. 제주도에서는 어선 건조마저 금지되었다. 이 모두가 공물을 제대로 받기 위함이었다. 「출륙금지령」이 풀린 것은 1850년 무렵으로 이때부터 제주도 사람들은 뭍으로 갈 수 있었다. 이 때부터 제주도 해녀들이 부산, 울산 등으로 일정 기간 돈벌이를 위한 출가(出嫁)를 시작하였다. 해녀들의 장비 해녀들은 소라·전복·문어·해삼·멍게·미역·톳·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는다. 물질에 필요한 도구는 해녀들이 부력을 이용하여 가슴에 안고 헤엄치는 ‘테왁’이 있고, 테왁 밑에는 잡은 해산물을 담는 자루 모양의 ‘망시리’(망사리, 망아리)가 달려 있다. 해녀들이 무자맥질을 할 때 이 테왁과 망시리는 물 위에 띄워둔다. 몸에 지니고 잠수하는 장비로는, 전복 등을 캐는 길쭉한 쇠붙이인 ‘빗창’, 해조류를 베는 낫인 ‘정게호미’, 조개 등을 캐는 쇠꼬챙이 갈퀴인 ‘갈고리’, 물고기를 쏘아 잡는 작살인 ‘소살’이 있다. 해녀는 ‘물옷’이라는 해녀복을 입고 ‘눈’이라고 하는 물안경을 낀다. 물옷은 면으로 된 잠수복에서 고무 잠수복으로 바뀌었다. 물안경은 ‘족세눈’이라는 작은 쌍안경을 사용했으나 1950년대부터 ‘왕눈’이라는 큰 물안경을 쓴다. 해녀의 문화 해녀는 특별한 누군가가 되는 것이 아니었다. 반복된 물질과 훈련을 통해서 강하고 능숙한 해녀로 거듭나는 것이다. 과거 제주도 해안 마을의 소녀들은 ‘애기바당’이라고 부르는 얕은 바다에서 물질을 배웠다. 노련한 해녀들을 관찰하고 다른 해녀들의 경험을 들으면서 물질을 배우고 반복된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익힌다. 대체로 어머니가 해녀이면 딸도 해녀, 시어머니가 해녀이면 며느리도 해녀가 되었다. 제주도에서 태어난 여자들은 7~8세가 되면 바다에서 헤엄치기와 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하는 무자맥질을 배운다. 12~13세가 되면 얕은 데서 깊은 데로 헤엄쳐 들어가는 연습을 한다. 15~16세가 되면 물질을 시작해 해녀가 되고, 17~18세가 되면 한 몫 잡이의 해녀로 활동하였다. 물질은 40세 전후에 가장 왕성하며, 대체로 60세 전후, 어떤 경우에는 70이 넘도록 물질을 하기도 한다. 물질의 기량 및 숙련도에 따라 제주 해녀는 상군(上軍), 중군(中軍), 하군(下軍)의 세 집단으로 구분된다. 상군 해녀는 오랜 기간 물질을 하여 기량이 뛰어나고 암초와 해산물에 대해서도 가장 잘 알고 있어 아래 해녀들에게 자신의 지혜를 나누며 해녀공동체를 이끈다. 제주 해녀들은 상군 해녀들로부터 물질에 필요한 지식뿐만 아니라 해녀 문화에 대한 지식과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도 배운다. 세계적 인류무형문화유산 해녀들의 ‘물질’은 원초적인 어로 형태로 다른데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어로(漁撈)법이다. 해녀는 한국의 전통적 해양 문화와 여성 어로 문화를 대표하는 산 증인이다. 해녀의 생업과 문화에는 자연과 인간의 공존 및 공유지의 지속적인 이용과 분배에 관한 여러 가지 지혜들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물질 경험에서 축적된 생태환경에 대한 민속지식이 상당하고 동료 해녀에 대한 배려와 협업, 해녀들의 신앙과 의례 등 해녀만의 독특한 공동체적 생활문화를 이루고 있다. 해녀와 관련된 문화는 무형유산으로서 역사성, 예술성, 고유성 등의 가치가 탁월하므로 종목을 보존·전승하고자 2017년 5월 ‘해녀’를 국가무형문화재 제132호로 등록하였다. 이러한 해녀의 문화는 우리 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가치를 인정받았다. 2016년 ‘제주해녀문화’는 우리나라에서 19번째로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영어 표기는 ‘Culture of Jeju Haenyeo(Women Divers)’다.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제주 해녀 문화는 산소공급 장치 없이 바다에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물질문화’와 공동체의 연대를 강화하며 해녀들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는 ‘잠수굿’, 물질을 나가는 배 위에서 부르는 ‘해녀 노래’, 모녀 및 세대 간에 전승되는 ‘여성의 역할’ 등이다. 제주 해녀 문화가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이런 문화가 지역의 독특한 정체성을 상징하고,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유지하며 관련 지식과 기술이 공동체를 통하여 전승된다는 점이었다. 해녀의 세계화 해녀의 고령화와 지구온난화, 어촌 자원의 고갈과 어려운 작업 환경으로 해녀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그래서 제주 해녀 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고 국내외에서 해녀 문화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의미가 있다. 특히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BBC와 JTBC <딥 다이브 코리아: 송지효의 해녀 모험>을 통해 세계적으로 더 많이 알려져서 더 반갑다.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해녀와 그 문화가 세계에 더 많이 알려지고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남기를 바란다.